
2018년 뭔가 새로워진 것은 공항터미널이 생긴 것이다. 이곳에서 수속을 할 수가 있었는 데 케세이 퍼시픽은 창구가 없이 기계로 하게 되어 있는 데 수속이 잘 안되어서 중화항공 직원 분에게 물어보니 옆에 와서 여권 스캔해 주시고 이래 저래 해 봤는 데 잘 안되었다. 결국 케세이 퍼시픽 직원이 없어서 도와주기 어렵고 타오위안 공항가서 직접 수속해야 할 것 같다고 하셨다. 공항철도를 타고 나름 신속 정확 편리하게 공항에 갔다. 케세이퍼시픽 카운터에 가서 체크인을 했는 데 창가, 복도 자리 다 나갔다는 암울한 말을 하시다가 창가자리 하나 나왔다고 그걸로 해 주셨다. 라운지 있는 층에 샤워실이 있는 데 수건만 있으면 그냥 이용이 가능했다. 샤워를 하고 나니 몸이 개운해 지는 것 같았다. 가뿐한 느낌으로 비행기에..

2018년 다시 타이페이를 찾았다. 타이페이는 4번째인 것 같다. 그때 마다 조금씩 변하고 있는 데 타이페이보다는 서울일 더 빠르게 변하는 것 같다. 적벽돌의 공회당 같은 건물이고 타이페이 대학 병원인 것 같다. 궁금한 마음에 건물 안에 들어가 보았다. 서울대 연건 캠퍼스나 경북대 병원같이 오래된 건물에 병원이 들어서 있는 상태였다. 얼얼빠 공원은 그댈 였는 데 저 지압 자갈을 밟았던 느낌이 기억나는 걸 봐서는 나도 타이페이에 추억이 생기고 있는 것 같다. 총독부도 옛날 모습 그대로이다. 하긴 이 놈은 잘 보존하고 있을테니... 대만 은행도...

지난 번에 대한항공이 연착되어서 인천공항에서 무지 어렵게 집에 간 기억이 있어 좀 걱정했다. 다행히 이번에는 연착은 아니었다. 오히려 타오위안 공항에 공항버스 타고 가는 게 조금 아슬아슬했다. 무사히 수속을 마치고 지하 식당에서 뭔가를 먹었다. 좀 정크푸드같은 맛이 났던 걸로 기억. 타오위안공항 지하 푸드코트. 리노베이션을 해서 깔끔한 모습이다. 공항 자체는 조금 오래되어 보이지만. 정말 텅텅 빈 비행기를 탔다. 덕분에 옆에 아무도 없는 상황에서 편하게 왔다. 기내식은 소고기를 시켰는 데 맛은 그냥 그랬던 걸로.

타이페이에 오는 사람들은 여러가지 목적이 있겠지만 이곳을 보러 오는 지도 모르겠다. 장제스는 수많은 군인들을 숙청당하게 만들면서 배 한가득 자금성에 있던 보물과 황금을 실어 왔다고 한다. 황금은 대만 건국의 밑천이 되었다고 하고 보물은 이곳에 전시되어 있다. 콜렉션이 워낙 방대해서 한 번에 전시를 다 못하고 몇 년에 걸쳐서 나누어 전시하는 데 내부에 사진 촬영이 금지 되어 있어서 사진을 못찍은 듯 하다. 고대인들의 손재주가 뛰어나다고 느낄만한 작품이 매우 많기는 했다. 어찌 보면 우리나라의 유물들이 조금 초라해 보이기도 했고. 중국 사람들이 잘난 조상을 둔 것은 맞는 것 같다. 그래도 작품 하나하나에 감동을 받기에는 내 안목이 조금 부족한 것일 지 모르겠다. 적어도 내 시각엔 왜 그 귀한 옥으로 정교하게..

첫날 아침은 맥모닝, 저렴한 곳이니 과감하게 가장 비싼 것 시켜 봤다. 구성이 우리보다 좋은 것 같다. 망고소스가 좀 달아서 별로였다는 느낌이 있지만 그래도 가격대비 맛나게 먹었다. 둘째 날도 맥모닝, 이번엔 우리나라에 안 파는 에그 베네딕트 같은 놈을 시켜 봤다. 나름 괜찮았다. 국내 도입이 시급하다. 3일 연속 맥모닝을 먹기는 좀 그렇다고 생각하는 순간 맥도날드가 무슨 일인지 아침에 문을 닫았다. 스타벅스, KFC도 다 문을 닫았다. 무슨 일일까? 과연 아침을 먹을 수 있을까하는 생각을 하며 시먼딩 역으로 걸어갔다. 하늘은 우리를 저버리지 않았다. 시먼딩역 옆에 있는 스타벅스는 문을 열었다. 아침 메뉴가 있어서 골라서 시키고 2층으로 올라갔다. 대만 스타벅스 내부는 이렇게 생겼다. 우리나라 돈으로 5..

시먼딩에서 택시를 잡아타고 타오위안 공항으로 갔다. 비행기가 1시간 연착이란다. 아무 생각없이 타오위안 공항 지하에 있는 신동양에서 뭔가를 먹었다. 여기까지는 평화로왔으나 저녁 7시 25분 대한항공을 타면 한국에 10시 55분에 도착할 예정이었으나 1시간 연착이 되면 8시 25분에 비행기를 타서 한국에는 거의 밤 12시에 도착하는 상황. 8시 쯤에 타라고 안내 나와서 비행기를 탔다. 기내식으로 소고기 골라 먹고 언제나 그렇듯이 맥주는 맥스. 여기서는 너무 맥스 띄워 주는 것 같다. 하여간 인천 공항에 도착하니 밤 12시. 입국장으로 들어와 버스 안내 전광판을 보니 서울로 가는 대부분의 버스가 끊겼다. 김포공항행 공항 철도 막차만 남아 있는 상태. 결국 아쉬운대로 그놈이라도 타고 김포공항에 가서 택시 타고..

중정기념관을 다시 찾았다. 다시 봐도 큼직하게 지어 놓았다. 대만은 인구 밀도가 높아 집도 아담하고 일본 같은 분위기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이런 구조물을 보면 역시 사람들은 중국 사람이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우리는 윤봉길 의사 칭찬했다는 장제스 총독으로 알고 있고 어른들은 장개석이라고 많이 부르고 대만 사람들은 C.K.S.내지는 장카이섹이라고 부르는 것 같다. 이렇게 보면 대만 말이 중국어보다 우리나라 말하고 비슷한 것 같기도. 두번 째 찾아갔을 때는 내부 수리가 끝나 내부에 들어가 볼 수 있었다. 장제스 밀납인형이 있는 데 이런 분이셨던 모양이다.